
초기 게임 스타트업의 IR 피치덱 스토리라인 수립 프레임워크: 13단계 완벽 가이드
“우리 게임은 정말 재미있어요. 플레이어들이 몇 시간씩 붙어있을 거예요.” 대부분 초기 게임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투자자 앞에서 이런 말로 피치를 시작합니다. 하지만 정작 투자자들은 우리의 주장에
“우리 게임은 정말 재미있어요. 플레이어들이 몇 시간씩 붙어있을 거예요.” 대부분 초기 게임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투자자 앞에서 이런 말로 피치를 시작합니다. 하지만 정작 투자자들은 우리의 주장에
많은 창업자들이 뛰어난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실패하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바로 시장 진입 전략(Go-To-Market Strategy)의 부재 때문입니다. 아무리 혁신적인 제품이라도 고객에게 도달하고, 가치를
Product-Market Fit, 즉 PMF는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정작 PMF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의하고 측정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PMF를
스타트업 창업을 준비하거나 초기 투자 유치를 고민하는 창업자라면,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정보가 절실합니다. 린스프린트 블로그는 지난 몇 년간 스타트업 현장에서 축적한 실무 인사이트를
성공적인 투자 유치는 단순히 매력적인 IR 덱을 만드는 것 이상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앞선 포스팅에서는 투자자에게 전달하는 IR 사업계획서인 IR 덱의 스토리라인을 어떻게 수립해야 하는지에
초기 스타트업 창업자가 투자유치를 위해 준비해야 할 IR자료가 2가지 유형이 있으며, 이는 피치덱(Pitch Deck)과 IR덱(Investor Deck)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피치덱을 준비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해야 하는
jskim@leansprint
© 2020 LeanSPRIN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