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내벤처
사내벤처 실무자, 연간 운영 계획 어떻게 세워야 할까?
지난 10년 동안 금융, 소비재, 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대기업 사내벤처 프로그램에서 초기 육성 강의/워크샵 또는 개별 코칭 프로그램을 제공해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비록 사내벤처 운영부서
지난 10년 동안 금융, 소비재, 통신 등 다양한 분야의 대기업 사내벤처 프로그램에서 초기 육성 강의/워크샵 또는 개별 코칭 프로그램을 제공해왔습니다. 그 과정에서 비록 사내벤처 운영부서
초기 스타트업 창업자에게 IR Deck은 단순한 발표자료 그 이상입니다. 투자자의 관심을 끌고, 팀의 가능성을 설득하며, 시장에 대한 준비도를 증명하는 도구이자 전략입니다. 린스프린트는 그동안 액셀러레이터, 창업지원기관,
사내벤처 프로그램에 교육/워크샵, 코칭으로 참여하다 보면 흔히 마주치는 장면이 있습니다. 육성기간 동안 온갖 노력, 관심, 리소스를 집중시켜서 최종 평가 직전에 MVP를 완성시키고 이를 최초로 최종발표때
초기 스타트업부터 Series A, B 단계 스타트업까지 가장 중요한 숙제는 투자 유치입니다. 특히 IR 자료는 투자자와의 첫 접점이자 가장 중요한 소통 도구로, 그 중요성은 아무리
하루가 멀다 하고 새로운 기능과 급격한 혁신이 쏟아지는 곳이 바로 ‘생성형 AI’ 시장입니다. 변화의 속도가 너무 빨라 일반인들이 따라가기 어려울 정도입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은
스타트업 창업을 준비하거나 초기 투자 유치를 고민하는 창업자라면, 실전에서 바로 써먹을 수 있는 정보가 절실합니다. 린스프린트 블로그는 지난 몇 년간 스타트업 현장에서 축적한 실무 인사이트를
jskim@leansprint
© 2020 LeanSPRINT. All rights reserved.